[현장연결] 중대본 "확진자 줄고 있지만 위중증 환자 여전히 증가세"<br /><br />정부가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결과를 설명합니다.<br /><br />직접 들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박향 /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]<br /><br />12월 28일 화요일 중대본 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.<br /><br />어제 중대본에서는 코로나19 코호트 요양시설 관리 강화 방안 논의가 있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요양시설을 대상으로 해서 3차 접종을 완료하고 감염병 전담 요양병원을 계속 확충해서 12월 초에 비해서는 요양시설 내 집단감염 사례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렇지만 요양시설에는 감염에 취약한 고령층이 다수 입소해 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건강관리와 진료체계에 대한 강화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먼저 감염병 전담 요양병원을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어제 기준으로 14개소에서 2150개의 병상을 확보했지만 1월 중순까지 21개소 3123병상까지 확보해 나갈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를 통해서 요양시설 내 확진자는 증상과 관계없이 전담 요양병원으로 이송을 하고 요양시설 내 병상 대기를 크게 줄일 수가 있을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또한 요양시설을 코호트 격리하는 경우를 대비해서 요양시설 내의 확진자에 대해서는 재택치료 체계를 갖출 예정입니다.<br /><br />12월 27일 현재 대부분의 환자를 전담병원에 입원시켜서 코호트 요양시설의 확진자는 약 34명입니다.<br /><br />요양시설 내 계약 의사 소속에 대한 의료기관 등이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 요건을 충족할 경우에는 우선적으로 지정을 해서 의료진을 통해 코호트 시설 내 확진자에 대한 1일 3회 모니터링 등을 집중 관리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아울러 코호트 요양시설 내의 확진자에 대해서는 렉키로나 주사 지원을 위해서 건강보험 수가를 한시적으로 적용하고 밀접접촉자 등에 대한 격리자를 대상으로 계약 의사가 원격 진찰을 할 경우 장기요양 재정에서 진찰비용을 지원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다음으로는 12월 20일에 실시했던 격리해제 환자 대상 전원 또는 전실명령 이행 상황에 대해서 다시 한 번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전원 또는 전실명령 대상자는 210명이었습니다.<br /><br />그중 69명은 일반 중환자실 또는 일반 병상에서 계속적으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23명은 퇴원을 하였습니다.<br /><br />일반 병실로 전원, 전실된 69명 중 대부분인 63명은 같은 병원 안에 그러니까 원래 격리치료를 했던 그 병원 내 일반 병상이나 일반 중환자실로 전실을 해서 치료를 받고 있고요.<br /><br />그 병원의 병실이 부족해서 타 병원으로 옮긴 경우는 6명입니다.<br /><br />74명은 의료진이 추가 격리치료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계속해서 격리 중환자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강제 퇴원을 했다든지 이런 치료를 중단했다든가 하는 그런 보도 내용은 사실과 약간 다르다는 설명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다시 한 번 설명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격리해제 조치는 치료를 제한하는 것이 아닙니다.<br /><br />격리를 해제해서 격리병상에서 일반 병실로 옮겨서 치료를 계속한다는 것입니다.<br /><br />격리병상은 일반 병상에 비해서 2배 이상의 의료인력이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의료장비도 많이 소요됩니다.<br /><br />따라서 20일 이상 격리 중증 병상에서 치료받는 환자를 일반 병상으로 옮겨서 치료를 받도록 하면 최대한 더 많은 코로나로 인한 중증환자, 격리치료가 필요한 중증환자를 치료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리고 이것은 전담 치료병상을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기도 합니다.<br /><br />확진자 증가세가 지난주부터 감소하기 시작했지만 아직 위중증 환자는 1000명대를 유지하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위중증 환자의 84.4%와 사망자의 94.6%가 60세 이상의 고령층입니다.<br /><br />또한 지난 4주간 위중증 환자의 53.2%와 사망자의 52.7%가 미접종자로 절반 이상에 해당합니다.<br /><br />위중증화와 사망을 줄이기 위해서 아직 기본접종과 3차 접종을 받지 않으신 분들께서는 서둘러서 접종에 참여해 주시길 당부드리겠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접종을 받지 않으신 60세 이상 분들은 더욱더 위험합니다.<br /><br />사람이 많은 곳으로의 외출을 가급적 자제해 주실 것 다시 한 번 당부드립니다.<br /><br />3차 접종의 가속화 또 거리두기 효과로 확진자 60세 이상의 고령층 비중이 감소하고는 있지만 또 병상 여력도 좀 나아지고는 있습니다.<br /><br />60세 이상의 3차 접종률은 현재 70%를 넘었습니다.<br /><br />확진자 중 60세 이상은 지난주 평균 25% 어제와 오늘은 20%로 12월 첫째 주 35.8%와 비교할 때 현저히 줄어든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아울러 또 추가적인 병상 확충, 또 회전율 제고로 병상 운영이 원활해지고 병상 대기자도 한 자릿수로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기준 환자, 중환자 병상을 보면 1384개입니다.<br /><br />그래서 가동률은 76.7%로 감소했고요.<br /><br />준중환자 병상 가동률도 역시 65%로 감소를 했습니다.<br /><br />중등증 병상 가동률도 역시 지난주 70.3%에서 57.7%로 감소를 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서 입원 배정을 기다리는 문제도 거의 해소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오늘 기준 하루 이상 입원 대기자는 9명에서 일주일 전 420명에 비해 현저하게 줄어든 상황입니다.<br /><br />확진자 규모와 고령층 환자가 줄었고 병상도 1월까지 계속 확충될 예정이기 때문에 의료체계의 여력은 앞으로 좀 안정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미크론의 확산세가 증가하는 등 여전히 위험요인은 상존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따라서 병상 확보는 당초 계획대로 꾸준히 추진해 나가도록 하겠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내일 수요일 9시부터 일상회복지원위원회를 개최해서 시민 참여형 방역 전략과 현재의 위험도에 대한 평가를 논의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현재 유행 추세는 감소세로 전환되고 있지만 이제 초입 단계이며 또 유행규모와 위중증 환자를 더 많이 줄이고 또 의료체계의 여력을 더 크게 확충할 확충을 해야만 일상회복 일은 더 가까워집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오미크론의 세계적 확산에 따라 안심할 수는 없습니다.<br /><br />12월 4주차 오미크론의 지역사회 검출은 1.8%이지만 해외 상황을 보면 급속도로 확산하는 경향이 커서 우려가 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좀 더 확실하게 현재의 위험규모를 안정화시키고 다시 일상회복을 시작하기 위해서 국민들께서 조금만 더 함께해 주시길 당...